👨‍💻 Coding Test/Programers

[Programmers/Java/Lv.0/수학 유형] 50.소인수분해

Developer Quarterly 2025. 2. 18. 19:04

문제 설명

소인수분해란 어떤 수를 소수들의 곱으로 표현하는 것입니다. 예를 들어 12를 소인수 분해하면 2 * 2 * 3 으로 나타낼 수 있습니다. 따라서 12의 소인수는 2와 3입니다. 자연수 n이 매개변수로 주어질 때 n의 소인수를 오름차순으로 담은 배열을 return하도록 solution 함수를 완성해주세요.

 

제한사항

2 ≤ n ≤ 10,000

 

입출력 예

n result
12 [2, 3]
17 [17]
420 [2, 3, 5, 7]

입출력 예 #1 : 12를 소인수분해하면 2 * 2 * 3 입니다. 따라서 [2, 3]을 return합니다.
입출력 예 #2 : 17은 소수입니다. 따라서 [17]을 return 해야 합니다.
입출력 예 #3 : 420을 소인수분해하면 2 * 2 * 3 * 5 * 7 입니다. 따라서 [2, 3, 5, 7]을 return합니다.

 

풀이

import java.util.ArrayList;

class Solution {
    public int[] solution(int n) {
        // 소인수를 저장할 리스트를 생성한다.
        ArrayList<Integer> tmpList = new ArrayList<>();
        
        // 반복문으로 (1로 나누면 무한 반복하기 때문에) 2부터 n까지 각 숫자에 대해 소인수분해를 한다.
        // 조건문으로 현재 숫자로 나누어 떨어지면 소인수이다.
        // while문이 소인수의 중복을 막는 역할을 한다.
        // 즉, 특정 소인수i 가 발견되었을 때, 해당 소인수로 나누어 떨어지는 한 계속 나누므로 한 번만 리스트에 추가된다.
        for(int i = 2; i <= n; i++) {
            if(n % i == 0) {
                while(n % i == 0) {
                    n = n / i;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tmpList.add(i);
            }
        }
        // 소인수분해된 결과를 배열 answer로 변환하여 반환한다.
        int[] answer = new int[tmpList.size()];
        for(int i = 0; i < answer.length; i++) {
            answer[i] = tmpList.get(i);
        }
        
        return answer;
    }
}